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빠른 픽셀 연산...

화면 전체를 가득 메우는 픽셀연산은 느립니다.

 

마우스로 드래그하는 시스템을 구성하여 당겨 흔들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오늘 그것을 빠르게 구성해 봅시다.

 

 

 

1. 느린 이유

 

용량이 많은 작업인 것은 어쩔 수 없습니다.

 

그것을 제외하고 이유는 보통 3가지입니다.

 

(클리핑을 통해 더 빨리 만든다던지, 처음작업시 이미지를 구성해서

 

매번 뿌린다던지의 꽁수는 각 작업상의 상황에 따른 것이니 논외로 합니다.)

 

 

 

1) 픽셀함수호출시간  2) for의 조건문과 픽셀접근계산  3) RGB를 분리했다 결합하는 연산

 

 

 

1번은 픽셀처리의 for문안에 절대 다른 함수를 호출해서는 안됩니다.

 

GetPixel, SetPixel은 독약입니다. 이유는 매 픽셀 "함수호출시간 + 클리핑계산 + 비트수맞춤"입니다.

 

 

 

2번은 memcpy식의 루프로 바꿉니다.

 

// 보통의 코드

RGBQUID* offset = 시작주소;

INT width = 이미지가로길이, height = 이미지세로길이;

INT row = 4배수정렬된 가로점의 갯수; // 바이트수가 아님

///////////////////////////////////////////////

for(int y = CY, yend = CY + CH; y < yend; ++y)

for(int x = CX, xend = CX + CW; x < xend; ++x)

{

    offset[x + row * (height - y - 1)] = 0x00BBGGRR;

}

 

// memcpy식 코드

RGBQUID* offset = 시작주소;

INT width = 이미지가로길이, height = 이미지세로길이;

INT row = 4배수정렬된 가로점의 갯수; // 바이트수가 아님

INT jump = width & 0xF, xoff = 0, xoffend = 0;

///////////////////////////////////////////////

for(int yoff = CX + row * (height - CY - 1), yoffend = yoff - row * CH; yoffend < yoff; y -= row)

{

    xoff = yoff;

    xoffend = yoff + width;

    switch(jump)

    while(xoff < xoffend)

    {

    case 0x0: offset[xoff++] = 0x00BBGGRR; // 매크로함수로 깔끔하게 바꿀 수 있겠죠? ^^;

    case 0x1: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2: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3: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4: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5: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6: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7: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8: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9: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a: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b: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c: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d: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e: offset[xoff++] = 0x00BBGGRR;

    case 0xf: offset[xoff++] = 0x00BBGGRR;

    }

}

 

 

 

3번은 비트연산으로 대체합니다.

 

// RGBQUID형 A와 B의 평균값 C

C = ((A >> 1) & 0x007f7f7f) + ((B >> 1) & 0x007f7f7f);

 

// RGBQUID형 A의 B시프트(0~7) 마스크 M 사전제작

M = 0xff808080;

while(B--) M |= M >> 1;

M = ~M;

 

// RGBQUID형 A의 B시프트(0~7) 페이드아웃 C

C = (A >> B) & M;

 

// RGBQUID형 A의 B시프트(0~7) 페이드인 C

C = ~((~A >> B) & M);

 

 

 

기본 로직만 이해하면 얼마든지 응용이 가능하겠죠?

 

[출처 : 데브피아(구본혁)]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각도 단위 변환

(1) 각도의 기본 단위 각도를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360분법 으로 표시하는 1도는 사방을 360으로 나눈 크기입니다. 1분은 1도를 60등분한 각이고 1초는 1분을 다시 60등분한 크기입니다. 분(arcminute)과 초(arcsecond)는 시간을 나타내는 단위인 분(minute), 초(second)와 기호가 같은데, 천문학(영어)에서는 둘을 구분하기 위해 각도는 나타내는 단위에는 ' arc- '를 붙여 표기합니다. 각도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으로 호도법 이 있습니다. 호도법은 반지름에 대한 호의 길이 단위로 각도를 표시하는 방법으로 사방은 원주율(π)의 2배 크기가 됩니다(360° = 2π rad). 호도법으로 나타낸 각도는 라디안(radian)으로 표시하며, 360분법으로 나타낸 각도를 호도법으로 나타낸 각도로 바꾸어 주려면 360분법으로 나타낸 각도에 π/180을 곱해주면 됩니다. 컴퓨터 프로그램 언어에서 삼각함수를 계산할 때에는 주로 호도법은 쓰고 있습니다. 1도(˚ , degree) : 1˚ = 60′ = 3600″ = π/180 rad 1분(′, arcminute) : 1′ = 60″ = 1/60° 1초(″, arcsecond) : 1″ = 1/60′ = 1/3600° 1라디안(rad, radian) : 1 rad = 180/π° (π = 원주율 = 3.1415926535897932384626433832795) (2) 시간의 기본 단위 시간의 기본단위는 초(second)입니다. 1초는 국제 표준으로 정밀하게 정의되어 있는데, 세슘 원자(세슘-133)가 9,192,631,770번 진동하는 동안의 시간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본래 1초는 1 평균 태양일의 1/86400로 정의되어 있었지만 지구의 자전 주기는 다소 불규칙하고 느리게 바뀌고 있으므로 균일한 시간을 정의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이후 1초는 지구의 공전 주기를 바탕으로 다시 정의 되었다가 지금은 세슘 원자의 특성을 기반으로 새롭게 정의하여 ...

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열팽창 계수)

열변형량 계산표.xlsx         측정기기에 대해서 1. 사용 환경은 20℃으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되나요?   그런 일은 없겠지만, 물건은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낮아지면 줄어듭니다. 거기서 공업적 길이를 나타내는 경우에 표준 온도 20℃으로 결정해 그 온도에 있어서의 결과를 나타내게 되어 있습니다. 그것은 ISO 1에 의해, 「길이 측정의 표준 온도는 20℃으로 한다」라고 규정되고 있습니다. 단, 이 규격에는 20℃에 대한 허용치는 나타나지 않습니다만, 별도인 규격으로 예를 들면 JIS Z 8703에서는 광공업에 있어서의 시험(측정이나 측정기의 교정도 포함된다)을 실시하는 장소의 온도에 관한 표준 상태의 허용차이가 규정되고 있습니다.   표준 온도의 허용차이 급별 허용차이 ℃ 온도 0. 5급 ± 0.5 온도 1급 ± 1 온도 2급 ± 2 온도 5급 ± 5 온도 15급 ± 15   즉, 항상 20℃에 정확히 맞추는 것은 매우 곤란해서, 어느 허용차이의 온도 환경이 필요하게 될까는 어느 정도의 정확한 측정이나 시험을 실시하느냐에 달려있다고 봅니다. 고정밀도의 측정을 실시하려면 , 허용차이의 작은 온도 환경이 요구됩니다.   2. 선열팽창 계수를 가르쳐 주세요?   물건은 온도가 높아지면 팽창하고 낮아지면 줄어듭니다. 온도 변화에 의한 물체의 길이의 증감을 수치화한 것이 선열팽창 계수입니다. 아래와 같이에 당사제품의 선열팽창 계수를 몇개인가 올려 보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제품명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부분의 재질 선열팽창 계수 게이지 블록(스틸) 강 10.8 X 10 -6 K -1 게이지 블록(세라믹) ...

종이를 몇번 접을 수 있을까?

1. 종이를 9번 이상 접을 수 없는 이유 두 가지 원인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종이의 두께가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두 번째는 종이의 넓이가 줄어들기 때문입니다. 먼저 두께의 변화를 살펴 보면, 1번 접으면 두께가 두배씩 늘어나죠. 두께를 0.1mm 라고 할 때, 0번 접으면 : 0.1 1번 접으면 : 0.2 2번 접으면 : 0.4 3번 접으면 : 0.8 4번 접으면 : 1.6 5번 접으면 : 3.2 6번 접으면 : 6.4 7번 접으면 : 12.8 8번 접으면 : 25.6 9번 접으면 : 51.2 즉 9번을 접으면 원래 두께의 512배가 되는 것입니다.. 다음으로 넓이를 살펴 봅시다. 1번을 접으면 넓이는 반으로 줄어들게 됩니다. 초기 넓이를 512제곱센티미터라고 하면. 0번 접으면 : 512 1번 접으면 : 256 2번 접으면 : 128 3번 접으면 : 64 4번 접으면 : 32 5번 접으면 : 16 6번 접으면 : 8 7번 접으면 : 4 8번 접으면 : 2 9번 접으면 : 1 즉 9번을 접으면.. 초기 넓이의 1/512 로 줄게 되는 것입니다. 이론적으로 넓이는 위처럼 줄어 들겠지만, 실제로 종이접기에는 종이 높이 만큼의 길이가 추가 되어 줄어드는 넓이는 더 많게 됩니다.   출처 : http://kin.naver.com/open100/detail.nhn?d1id=11&dirId=1113&docId=149404       2. 종이를 26번 접을수 있다면 그 높이는 에베레스트산 아시는 분도 있으시겠지만  만약에 종이를 26번 접을수 있다면 그 높이는 에베레스트산 정도의 높이가 됩니다 뻥이라 생각 하시겠죠??그렇지만 사실입니다. 우리가 주위에서 하찮게 생각했던것들 자세히 알고보면 어마어마 하고 크죠 제가 확인 시켜드리기 위해서 계산을 해보죠 종이를 한번 접으면 2장 돼는거 아시죠?/ 두번 접으면 4장 세번 접으면 8장 네번 접으면 ...